기존의 논을 활용해서 쌀을 대체하는 작물인 동계작물이나 논콩, 겉보리, 쌀보리, 밀 등을 심는 농가에는 전략작물직불금을 지급합니다. 원래 3월 말까지 신청기한이었는데 4월 20일까지 신청이 연장되었습니다.
경기도 전략작물직불금 신청 방법
1. 직불금 대상 작물
전략작물직불금 지급 대상이 되는 작물은 동계작물과 하계작물이 있습니다. 동계작물에는 밀, 보리, 호밀, 귀리와 같은 동계 식량이나 동계 조사료가 대상 작물입니다.
그리고 하계 작물에는 콩, 가루쌀, 하계조사료가 해당하고 하계조사료는 전년도 벼 재배논에서 재배하는 경우에 직불금 대상이 됩니다.
2. 직불금 단가
동계작물은 식량작물과 사료작물로 나뉘는데 6월 말까지 수확인 가능한 밀, 보리, 귀리와 같은 작물이 해당합니다. 동계작물 직불금 지급단가는 ha당 50만 원입니다.
하계작물은 콩과 가루쌀이 해당하고 직불금 지급단가는 ha당 100만원을 지급합니다. 특히 하계조사료를 재배하는 농가에는 ha당 430만 원의 직불금을 지급합니다.
동계작물을 수확하고 다시 하계작물을 심는 이모작을 하는 경우에는 인센티브로 100만원을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3. 직불금 신청 자격
경기도 전략작물직불금을 신청할 수 있는 자격은 기존 논에 동계작물과 하계작물 등 쌀을 대체하는 작물을 재배하는 농가입니다. 그리고 최소 재배면적은 농업경영체에 등록된 공식자료로 0.1ha 이상이어야 합니다.
또한 농업 외 종합소득이 연간 3,700만원 미만이어야 하고 농촌 지역에 주소 또는 주된 사무소를 두고 있어야 합니다. 농촌 지역 외에 주소지를 두고 있을 때는 농업을 주업으로 하는 자의 요건을 충족해야 신청할 수 있습니다.
4. 신청방법
경기도 전략작물직불금 신청 기간은 4월 20일까지이며 농지가 소재하고 있는 읍, 면, 동 주민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에 필요한 서류 및 자세한 사항은 농식품부 홈페이지 또는 농림사업정보시스템에서 알아볼 수 있습니다.
5. 제출서류
직불금을 신청할 때 준비해야 하는 서류는 필수서류로 직불금등록신청서, 지급대상 농지 증명서, 지급대상자 증명서류입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지급대상 농지 확인서 또는 영농증명 자료, 임대차계약서등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6. 직불금 지급일정
4월 20일까지 신청을 받고 이행 점검 기간을 거쳐서 최종 확정된 대상자에 한해서 오는 12월 중에 직불금이 지급될 예정입니다.
이상으로 경기도 전략작물직불금 신청방법 및 신청자격, 지급단가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전략작물직불금은 식량 자급률을 높이기 위한 농가소득보전 사업이니 자격을 갖춘 농가에서는 4월 20일까지 꼭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