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부터 문제가 되기 시작했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이 금융권으로 넘어오면서 새마을금고 부실 문제로 논란이 확산되었습니다.
실제로 2021년말과 비교해서 올해 6월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이 급상승했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다만, 새마을 금고는 지점별로 독립적으로 운용되는 조직이기 때문에 전체 지점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라고 발표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새마을금고의 부실 위험을 미리 알아볼 수 있는 새마을금고 경영평가 등급 확인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새마을금고 건전성 확인 방법
지역별로 운용되고 있는 새마을금고 지점의 경영상황은 새마을금고 중앙회 홈페이지를 통해서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새마을금고 경영평가 등급 확인 방법>
- 새마을금고 중앙회 홈페이지 접속
- 사업안내>전자공시 메뉴 선택
- 정기공시 메뉴에서 새마을금고 지점명 입력 후 검색
- 경영지표에 관한 사항 확인
최근 새마을금고에 대한 불안은 연체율이 급격하게 높아진것에서 왔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경영지표에서 자산건전성 항목을 집중적으로 파악해 보시면 내가 가입한 지점의 경영상태를 유추해 볼 수 있습니다.
현재 새마을금고 전체 연체 비율이 6.18%라고 합니다. 따라서 지점의 연체금 비율이 평균을 넘어선다면 건전성을 다시한번 검토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순자본비율>
다음으로 경영지표에서 확인 해볼 수 있는 사항은 순자본비율과 유동성비율입니다. 먼저 순자본비율은 금융기관의 BIS와 유사한 의미로 해당 금융기관의 기초체력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순자본 비율은 최소 4%를 넘어야 하고 7~8%정도 되면 안정적이라고 평가됩니다.
<유동성비율>
그리고 유동성비율은 요즘 문제가 되고 있는 뱅크런이 혹시라도 발생할 때 버틸 수 있는 단기 지급능력에 해당합니다. 이 지표가 높을 수록 재무구조가 안정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유동성비율은 최소 50%, 그리고 100% 이상을 넘는 지점이라면 안정적인 금융기관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유동성비율이 50%라는 것은 예금이나 적금을 고객이 동시에 인출하려고 할 때 전체 수신 예금의 50%를 지급 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참고로 2023년 1분기 우리은행의 유동성비율은 101%라고 공시되었습니다.
새마을금고 경영실태평가 등급 확인 방법
새마을금고 지점별 건전성 확인 방법 중 다음으로 해볼 수 있는 방법은 경영실태평가 등급으로 건전성을 체크해 볼 수 있습니다. 경영실태평가는 새마을금고 중앙회 홈페이지(https://www.kfcc.co.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새마을금고의 경영실태평가는 모두 5등급으로 분류됩니다. 1~2등급은 안정적인 등급이고 5등급은 부실경영이 우려되는 지점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다만, 현재 경영실태평가 등급은 2022년 12월에 실시된 평가이기 때문에 시간적인 문제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새마을금고 예금자보호 한도금액
새마을금고법에 따라서 새마을금고 역시 다른 금융기관과 마찬가지로 1인당 원금과 이자를 합해 5천만원까지 예금자보호가 됩니다. 만약 하나의 금고가 부실해서 다른 금고와 합병이 된다면 5천만원 넘어가는 금액까지도 보호가 됩니다.
새마을금고 경영상태는 매 6개월마다 상황을 공시합니다. 2023년 6월말 기준 각 지점별 경영상태는 8월경에 공시가 될 예정입니다. 문제는 부실한 지점의 경우에는 6개월 동안에도 경영위험에 빠질 수 있다는 부분이 아쉬운 부분입니다.
이상으로 새마을금고 건전성을 확인 하는 방법으로 경영평가 등급 확인 하는 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우려하고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새마을금고를 이용하고 있다면 내가 가입된 지점의 경영상태를 확인 해보는 것도 내 예금을 보호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국민은행 1년 정기예금 금리 비교(금리 높은 상품)
금융기관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기준 중에 '순안정자금조달비율(NSFR)'이 있습니다. 이는 1년 동안 금융기관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금 수요를 충족시키를 수 있는 안정적인 자금 조달 비율을 의
mysosik.info-bada.com
정기 적금 이율 높은 은행 상품 추천(청년저축)
지난주 첫선을 보인 청년도약계좌가 76만명을 돌파하면서 흥행에 성공했습니다. 5년간 매월 70만원을 납입하면 정부기여금을 더해서 최종적으로 5천만원의 목돈을 만들 수 있는 상품이 청년도약
mysosik.info-bada.com
우체국 1년 정기예금 금리 높은 상품
얼마전 미국 실리콘밸리 은행이 파산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예금보장한도에 대해서 논란이 있었습니다. 현재 1개 금융기관당 5천만원까지만 보장을 하고 있는데 한도가 낮다는 얘기입니다. 우
mysosik.info-bada.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