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금 가입자라면 연금을 어떻게 운용할 것인가에 대해서 고민이 많을 것입니다. 또한 안전하게 수익률을 올리는 것도 궁금할텐데요. 퇴직연금 시장에서 흐름을 바꿀 수 있는 제도인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의무화가 다음달부터 시행됩니다. 이번글에서는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뜻과 수익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뜻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뜻>
'디폴트(default)'라는 단어는 자주 들어본 말입니다. 따로 설정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인 상태를 디폴트라고 합니다. 퇴직연금에서는 디폴트옵션 제도가 7월 12일부터 의무적으로 시행됩니다.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제도는 퇴직연금 가입자들의 수익률을 올려주기 위해서 만들어진 제도입니다. 작년 7월에 처음 되입되었고 1년간의 유예기간을 거쳐 올해 7월 12일부터 모든 퇴직연금 운용사가 의무적으로 시행하게 됩니다.
디폴트옵션은 다른 말로 표현하면 '사전지정운용제도'라고 합니다. 이 단어를 풀어서 해석해 보면 가입자가 사전에 지정한 대로 금융기관에서 운용하겠다는 제도입니다.
퇴직연금 DC형 중도인출 사유(퇴직금 중간정산)
근로자의 노후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서 실시하고 있는 퇴직금을 포함한 퇴직급여는 중간에 찾을 수 있는 사유를 제한적으로만 허용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주택을 구입하거나 보증금으로 이
mysosik.info-bada.com
다시말해서 퇴직연금 디폴트옵션(사전지정운용제도)은 연금가입자가 사전에 지정한 방식대로 금융사가 대신 운용하고 관리해주는 제도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정부에서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제도를 시행하는 이유는 퇴직연금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서입니다. 우리나라의 퇴직연금 수익률이 미국과 같은 선진국과 비교해서 현저히 낮은 평균 1~2% 수익률로 아주 낮습니다. 대부분은 퇴직연금을 별도로 운용하지 않고 방치하거나 원리금이 보장되는 상품에만 투자하기 때문입니다.
디폴트옵션 적용 퇴직연금 종류
<디폴트옵션이 적용되는 퇴직연금 종류>
위에서 설명했듯이 퇴직연금 가입자가 원하는 경우에 사전에 운용 방식을 금융기관에 지정하는 것이 디폴트옵션입니다. 따라서 가입자가 원하지 않으면 강제로 디폴트옵션을 적용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가입자가 디폴트옵션을 원한다고 해도 퇴직연금의 유형에 따라서 적용가능한 상품과 그렇지 않은 상품이 있습니다.
많이 알고 있듯이 퇴직연금은 적립과 운용주체에 따라서 크게 세가지로 구분됩니다.
- 퇴직연금DB형: 적립과 투자를 모두 회사가(디폴트옵션 불가)
- 퇴직연금DC형: 적립은 회사, 투자는 가입자(디폴트옵션 가능)
- IRP: 적립과 투자 모두 가입자가(디폴트옵션 가능)
퇴직연금 3가지 중에서 디폴트옵션을 적용할 수 있는 상품은 가입자가 연금을 운용하고 투자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즉, 퇴직연금 중 DC형과 IRP 상품에 가입한 개인만 디폴트옵션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내가 가입한 퇴직연금 종류을 모르고 있다면 금융감독원 통합연금포털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디폴트옵션 적용 상품
<디폴트옵션 허용 상품>
이러한 퇴직연금 디폴트옵션을 적용할 수 있는 상품은 지정되어 있습니다.
- 타깃데이트펀드(TDF)
- 장기 가치상승 추구펀드
- 머니마켓펀드(MMF)
- 인프라펀드와 원리금보장상품
미국과 영국 등의 선진국에서는 퇴직시점에 가까워질 수록 안전자산 비중을 자동으로 늘려주는 상품이 인기가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TDF 상품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인기 있는 TDF는 작년에 약 4,000억원의 자금이 몰릴 정도로 인기가 많았다고 합니다.
그리고 투자위험도에 따라서도 구분해 볼 수 있습니다. 초고위험, 고위험, 중위험, 저위험, 초저위험으로 구분되는데 이는 원금 보장 여부에 따라서 구분되는 상품구분입니다.
디폴트옵션 상품 수익률
<디폴트옵션 상품 수익률>
지난 1년동안 시범운용을 해본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상품 수익률은 3개월 3.06% 정도로 발표되었습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1년 동안 디폴트옵션에 25만명이 가입했고 3개월 평균수익이 3.06%라고 밝혔습니다. 이전 1~2%대의 수익률과 비교하면 많이 좋아진 상태입니다.
디폴트옵션 상품은 현재 135개의 상품이 운용중에 있고 대부분 IRP 유형에 24만명이 가입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위험등급별로는 초저위험 상품에 대부분이 가입되어 있다고 고용노동부가 밝혔습니다.
디폴트옵션 수익률을 위험등급에 따라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당연하겠지만 위험도가 높아질 수록 3개월 평균 수익률이 높아짐을 알수 있습니다. 각 금융기관별, 그리고 위험도별 3개월 수익률이 좋은 상품은 아래와 같습니다.
가장 안전한 운용 상품이라고 할 수 있는 초저위험, 저위험 상품 수익율이 가장 높은 곳은 삼성증권 디폴트 옵션 포트폴리오입니다. 특히 저위험 상품인데도 삼성증권 디폴트옵션 상품이 4.02% 수익률을 올리고 있습니다.
비교적 위험도가 높은 상품인 중위험, 고위험 상품 중에서 수익률이 높은 금융기관은 KB국민은행 디폴트옵션과 미래에셋생명 디폴트옵션 상품입니다.
특히 KB국민은행 디폴트옵션 고위험 포트폴리오 1 상품은 3개월간 평균 수익률이 7.86%에 이릅니다. 다만 고위험 상품은 원금보장이 되지 않기 때문에 유의해서 지정해야 합니다.
고용노동부에서 5월말에 발표한 디폴트옵션 상품 운용과 수익률 공시를 참고해보면 도움이 되겠습니다.
이상으로 오는 7월 12일부터 시행되는 퇴직연금 디폴트옵션 뜻과 수익률 비교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디폴트옵션에 가입할 때 주의해야 하는 점은 고위험 상품은 대부분 원금 보장이 안된다는 점입니다.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수협은행 1년 정기예금 금리 높은 상품
은행들이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수신금리를 올리는 가운데, 한동안 사라져 있던 연 4%대 정기예금 상품들이 다시 돌아왔습니다.최근 금융 시장에서는 유동성 확보가 큰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mysosik.info-bada.com
퇴직연금 DC형 중도인출 사유(퇴직금 중간정산)
근로자의 노후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서 실시하고 있는 퇴직금을 포함한 퇴직급여는 중간에 찾을 수 있는 사유를 제한적으로만 허용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주택을 구입하거나 보증금으로 이
mysosik.info-bada.com
댓글